실시간 랭킹 뉴스

李정부 첫 경기 평가…"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압력 여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월까지 5개월 연속 반복된 '경기 하방 압력 증가'에서 증가세 표현은 빠져
내수 회복 지연, 통상환경 악화 등 지적 반복돼

연합뉴스연합뉴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최근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한 첫 평가로 "경기 하방압력이 여전하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13일 '2025년 6월 최근경제동향'(그린북)을 발표하며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압력이 여전한 상황"이라는 평가를 내놓았다.

최근 한국 경제를 발목잡고 있는 미국 관세 장벽 등 대외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12.3 내란사태 직후인 지난해 12월 '경기 회복'을 '하방위험 증가 우려'로 표현을 바꾸기 시작했다. 이어 올해 들어서는 전월까지 5개월 째 "경기 하방 압력 증가"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다만 이번에도 '경기 하방압력'을 강조했지만, '증가'세라는 인식이 빠진 대신 '여전하다'는 문구가 사용된 점이 눈에 띈다.

"내수 회복 지연"을 지적하는 문구는 5개월째 계속됐고, 전월에 첫 등장했던 '수출 둔화'와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인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 우려'는 이번에도 반복됐다.

이처럼 정부가 경기하방압력이 여전하다고 보는 이유는 지난 4월 생산 부문이 일제히 뒷걸음질쳤기 때문이다.

지난 4월 수출 역군인 광공업은 전월보다 0.9%, 내수와 직결되는 서비스업은 0.1%,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건설업은 0.7%씩 각각 하락했다. 이로 인해 전(全)산업 생산지수도 0.8% 떨어졌다.

서비스업과 건설업이 위축된 가운데 민간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도 전월보다 0.9% 줄었다. 투자에서도 설비투자가 0.4%, 건설투자는 0.7%씩 각각 하락했다.

얼어붙은 소비를 반영해 5월 소비자물가는 농산물·석유류 가격 하락폭 확대,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폭 축소 등으로 1.9% 상승에 그쳐 1%대로 위축됐다.

다만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SI)는 101.8로 기준치(100)을 넘기며 전월보다 8.0p나 올랐고, 기업심리를 보여주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90.7, 종합전망지수는 89.5로 여전히 기준치보다 낮지만 각각 2.8p, 3.2p씩 오른 점이 고무적이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경기 회복, 소비 활성화 및 취약계층·소상공인 지원 등을 위한 추경을 속도감 있게 마련·추진하겠다"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