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가 일본에서 '부산항 이용 촉진 설명회'를 열고 있다. 부산항만공사 제공부산항만공사(BPA)가 일본 동북지역의 물류 거점인 센다이에서 부산항 이용을 홍보하는 설명회를 처음으로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북미 수출입 비중이 높은 미야기현을 겨냥해 부산항의 환적 경쟁력과 물류 효율성을 알리고, 센다이항과의 연계 항로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BPA는 7일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에서 '부산항 이용 촉진 설명회'를 열고, 일본 동북 지역 화주와 물류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부산항의 강점을 소개했다.
이번 설명회는 부산항이 센다이에서 개최한 첫 공식 포트세일즈 행사로, 일본 동안 지역까지 마케팅 범위를 넓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장에는 미야기현의 해운·물류 관계자 130여 명이 참석하며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부산항만공사 송상근 사장(왼쪽)과 미야기현 무라이 요시히로 지사. 부산항만공사 제공BPA는 설명회에서 부산항의 글로벌 항로 네트워크와 안정적 운영 성과를 중심으로 환적 항만으로서의 이점을 부각시켰다.
특히 미야기현의 북미 수출입 비중이 26.3%에 달한다는 점에 주목, 부산항이 아시아에서 북미로 향하는 '라스트 포트(마지막 기항지)'로서 최적의 환적지임을 강조했다.
지난해 기준 부산항을 라스트 포트로 둔 북미 노선은 26개로, 아시아 항만 중 1위다.
또한, 일본 디지털포워더 기업 Shippio의 카와시마 컨설턴트는 "중국 선전에서 센다이까지 부산항을 경유하면 일본 주요 항만을 이용할 때보다 물류비를 25~30%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해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북미 가는 마지막 기항지, 부산이 최적"
송상근 BPA 사장은 "일본 동북지역 중심 도시인 센다이에서 부산항의 경쟁력을 직접 소개하게 돼 뜻깊다"며 "앞으로 미야기현 등과 협력해 실질적인 상생 관계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설명회에 앞서 BPA는 무라이 요시히로 미야기현 지사와의 오찬 간담회를 통해 항만 물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무라이 지사는 일본 전국 47개 도도부현 지사 회장이자 5선 지사로, 상호 협력 의지를 확인하는 중요한 만남이었다.
BPA는 향후에도 일본 전역의 물류 흐름을 분석해 잠재 환적 수요가 높은 지역에 맞춤형 마케팅을 이어갈 계획이다.
도호쿠 지역은 연간 27만TEU의 환적 물량을 보유한 전략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