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민의힘 이양수 사무총장이 대선 후보 선출 방식과 관련해 취재진 앞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20룡'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 국민의힘 대선 경선 룰이 확정됐다. 1차 경선을 통해 후보를 4명으로 압축, 2차에서 2명을 뽑은 뒤 최종으로 1명을 선출하는 방식이다. 이때 1차는 100% '국민여론조사'로, 2차와 최종은 '선거인단 50%·국민여론조사50%' 룰을 적용하기로 했다.
10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의 경선 룰을 의결했다. 이양수 사무총장은 "1차 경선에서 국민여론조사 100%로 4인을 선출하고, 2차 경선에서 선거인단 투표 50%와 국민여론조사 50%로 2인을 선출한다"고 밝혔다.
또 "3차 경선으로 선거인단 투표 50%와 국민여론조사 50%로 최종 1인을 선출한다"며 "단 4인 경선에서 한 후보가 50%를 넘으면 2인 경선을 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1차 이후부터는 결선 투표의 개념으로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이 사무총장은 "1차 경선에서 국민여론조사 100%로 한 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등 민심을 높여야 한다는 요청이 많이 있었다"며 "민심 눈높이에 맞는 후보들이 4인 경선을 갈 수 있도록 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모든 경선 조사에 있어서 '역선택 방지' 장치가 적용된다"고 덧붙였다. '역선택'이란 여론조사에서 타 정당 등 반대 진영 지지자들이 경선 투표에 참여해 의도적으로 약체 후보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방지하는 장치로는 보통 여론조사를 돌릴 때 지지 정당을 국민의힘이 아닌 다른 정당을 선택했을 때 샘플에 반영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한다. 결국 당원과 무당층만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돌려 후보를 선출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 사무총장은 "갑자기 생긴 조기 대선이라 역선택 방지 조항을 없애야 한다는 의견도 일부 있었다"면서도 "당헌·당규를 바꿀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당헌에 있는 그대로 적용한다고 말씀드린다"고 설명했다.
당 안팎에선 말로만 '민심'을 반영하겠다고 할 뿐, 사실상 당원과 무당층의 의견만 듣겠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당내에선 본선 경쟁력이 있는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역선택 방지조항을 없애야 한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타 정당이 훼방을 놓기 위해 '역선택'을 한다는 판단 자체로 실체가 모호한 데다가, 역선택이 실제 있더라도 일반 민심 여론을 수렴한다는 측면에서 필요한 부분이어서다. 역선택 방지조항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를 외쳐왔던 후보들이 유리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