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주 기자의대생 거의 전원이 1학기 등록을 마쳤지만 학생들이 집단 수업 거부에 나서면서, 수업일수를 채우지 못한 학생들의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다만 대부분의 대학들은 유급과 관련한 위원회를 학기 말에 개최해 최종 유급 대상자는 학기 말에 정해질 것으로 전해졌다.
16일 교육계에 따르면, 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고려대·경희대 의대생과 아주대 신입생은 최근 수업거부 방식을 통해 '복학 후 투쟁'하기로 입장을 정했다. 현재 전국 40개 의대의 수업 참석률은 20%대로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세대는 지난 7일 수업 참여를 거부한 본과 4학년 48명에게 유급 예정 통보서를 발송한데 이어 전날 본과 1~3학년에 대한 유급 예정 통보서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는 지난 10일 본과 3·4학년 125명에 대해 유급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이처럼 수업일수 부족으로 인한 유급 대상자가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대학마다 학칙이 다르긴 하지만 대체로 전체 수업일수의 '1/4 혹은 1/3' 이상 결석하면 F학점을 줘 유급 처분하고, 유급이 2~4회가량 누적되면 제적된다. 연세대와 고려대는 수업 일수의 1/3 이상 출석하지 않으면 유급 대상이 된다.
각 대학, 다른 대학 동향 살펴가면서 대응
각 대학들은 다른 대학들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학생들에 대한 유급 처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인제대의 경우 다른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수업에 많이 나오지 않아, 학생들 복귀 독려활동만 하고 있다.
울산대의 경우 이번 주까지 지켜본 뒤, 유급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울산대 관계자는 "수업일수의 1/3에 미달하면 유급이 되는데, 학년마다 개강 일자가 달라 유급 시한을 일괄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대구가톨릭대는 3월 28일이 수업 미복귀 시 유급 시한이었다. 대구가톨릭대 관계자는 "3월 28일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은 경우 유급이 원칙이지만, 아직 유급 통보 방침이 정해지지는 않고 답보 상태"라고 밝혔다.
건양대 관계자는 "오는 18일 이후 유급과 관련해 윤곽이 나올 듯하지만, 18일에 유급을 통보한다는 뜻은 아니고, 유급 여부와 관련해 뭔가 결정을 내린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동국대 WISE 캠퍼스 관계자는 "4월이 지나고 난 뒤 출결상황을 확인해서 학칙에 의거해 대상자가 있다면 유급 처리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학칙 상으로 1/4 지점이 유급이지만 이 시점에서 바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고 좀 지나야 통보된다"고 밝혔다.
가톨릭대는 지난달 31일에 개강해 유급과 관련해 아직 여유가 있고, 중앙대의 경우 학칙상 출석일수의 1/4 이상 결석이면 F학점을 맞아 유급되는데, 이 시점이 5월 2일이다.
대부분의 대학, '유급 대상자 확정은 학기 말에'
각 대학들은 유급대상 학생들에게 유급 예정 통지를 하되, 유급 대상자는 학기 말에 유급관련 위원회를 열어 확정지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대는 본과 1·2학년은 오는 21일부터 유급대상자가 나오고, 본과 3·4학년의 경우 이번 주부터 시작하는 실습에서 불출석이 1주당 이틀을 초과하면 유급 대상자가 된다. 전남대 관계자는 "유급 대상자 통보는 바로 이뤄지지만, 실제 유급처리는 학기 말에 이뤄진다"고 밝혔다.
전북대 관계자는 "유급처리를 학기 중에는 할 수 없고, 1학기가 다 끝난 다음에 수업참여 여부를 따져 하게 돼 있다"고 밝혔다.
고려대의 경우 본과 3·4학년 125명을 유급대상자로 분류했지만, 확정은 학기 말인 6월쯤에 하기로 했다. 조선대의 경우 유급 판단을 학년 말에 하고 있다.
각 대학, 학기 말 되기 전까지 '유급대상자 최소화 방안' 모색할 듯
황진환 기자
교육부와 대학은 '올해는 더 이상의 관용은 없다'며 학칙에 따른 원칙적 처리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집단 유급이 이뤄지면 24·25·26학번이 내년에는 예과 1학년으로 함께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이 현실화할 수 있다. 이는 각 대학이나 교육당국으로서 최악의 시나리오다.
이에 따라 각 대학들은 학기 말이 되기 전까지 유급대상자 최소화를 위한 여러 방안들을 강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 다음 주에 '2026학년도 모집인원 결정할 듯'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입 일정 등을 고려해 다음 주에 '내년도 의대모집 인원'을 결정해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수업 참여율이 20%대로 저조해, '모집인원 규모'를 놓고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는 정부에 조속히 내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확정하라고 촉구하고 있지만, 의대생들이 수업을 거부하면서 '모집 인원 3038명 동결'이 불투명해졌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7일에, 의대생 복귀율을 취합해 의대 교육이 정상화할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