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보수 성향 단체 '리박스쿨' 교육 내용과 관련해 오석환 교육부 차관에게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은 11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리박스쿨' 댓글 조작 의혹 긴급현안질의에서 이 사건의 배후에 윤석열 정부가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과거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을 꺼내들며 이 사건으로 유죄판결을 받았던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를 불러 질의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민주당 김준혁 의원은 이날 현안질의에서 "리박스쿨의 극우적 사관은 단순하게 학교에 있는 어린이만 대상으로 한 게 아니라, (그런 교육을 하는) 강사를 양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자리에서 김 의원이 공개한, 리박스쿨 유튜브 채널에 올라왔다가 삭제된 영상에는 강사 김모씨가 체험학습 전문 강사들을 대상으로 일제의 위안부·강제동원 문제를 정당화하는 교육을 하는 장면이 담겼다.
이 영상에서 김씨는 특히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를 비난했다. 그는 "(교과서에) '김복동 할머니가 14세에 위안부에 끌려가는 날'이라고 써 있는데 전부 거짓말이다. 14세는 위안부가 될 수 없다"면서 "(일본군 위안부가) 무슨 전시 성범죄냐, 지금의 잣대로 보면 안 된다. 당시에는 공창제라고 해서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해서 세금까지 받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일제 강제동원 피해의 대표적인 장소인 군함도(하시마 섬)를 두고는 "(조선인들이 낮에는 일해서) 돈을 벌고, 저녁이 되면 파도 소리밖에 안 들리지만 2년 동안에 얼마를 벌어서 논밭을 살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일했다"고 주장했다. 또 "(교과서에 실린 사진 속 조선인 노동자의 모습이) 너무 행복하지 않나. 행복한 노예들 아니냐"며 "기념사진을 찍었다는 건 선택받은 사람들"이라고도 했다.
같은 당 백승아 의원도 리박스쿨에 대해 "윤석열 정부가 뉴라이트 정부였기 때문에 사실상 예견된 참사였다"며, 윤석열 정부가 늘봄학교를 확대했고 교육청은 충분한 검토 없이 강사를 채용해 리박스쿨 소속 강사가 학교 현장에 침투했다고 비판했다.
정을호 의원도 "뉴라이트 세력의 조직적인 교육 현장 침투"라며 "윤석열 정부가 치적 쌓기에 급급해 늘봄사업을 졸속으로 강행했고, 그 결과 교육 현장은 극우성향의 단체인 뉴라이트의 먹잇감이 됐다"고 주장했다.
반면 국민의힘 서지영 의원은 "(늘봄학교에서) 이들이 진행한 수업은 '두근두근 신나는 실험과학'과 '오감으로 느끼는 그림책'인데, 이들 수업에서 역사관을 가르칠 수 있냐"고 반박했다. 또 리박스쿨의 댓글 공작 의혹에 대해서는 "선거에 영향을 줬는지 따져야 하는 문제는 교육부보다 행안부에 물어야 하는 사항"이라며 행정안전위원회와 함께 회의를 하자고 말했다.
그는 "댓글 공작 부분에 대해 국민의 의구심이 더 클 것 같으면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게 맞을 것 같다"며 "댓글 공작 전문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를 출석하게 해서 청취해 보자"고 현안과 다소 동떨어진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이 말을 들은 교육위 민주당 간사 문정복 의원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김 전 지사를 얘기하는데, 댓글 공작의 원조라고 하면 이명박 정부의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아니겠나"라며 "김 전 지사를 부를 거면 이명박 전 대통령도 부르고, 원세훈(전 국정원장)도 부르고 그렇게 한 번 해보자"라고 맞받아쳤다. 그러자 민주당 소속 김영호 교육위원장이 "도를 넘지는 말아달라"며 중재했다.
이날 현안질의에 이주호 교육부 장관 겸 부총리는 국무총리 직무대행 업무를 이유로 들어 불참했다. 대신 참석한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리박스쿨과 관련된) 한국늘봄교육연합회가 10개 학교에 공급한 프로그램 자체의 중립성 위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는 리박스쿨의 늘봄학교 프로그램 개입에 대해서는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리박스쿨의 교육자료는) 부적절하고, 리박스쿨의 역사교육에 동의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리박스쿨 손효숙 대표가 교육부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한 것에 대해선 이 장관과 개인적인 인연이나 관계는 없다면서 "리박스쿨 사건을 인지하고 지난 1일 손 대표를 해촉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