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6월 서울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10.2p↓ 전국 지수도 7.2p↓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다음 달 예정된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등이 주택사업자들 불안 심리 자극"

6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주택산업연구원 제공6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주택산업연구원 제공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12일 발표한 '6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7.9로, 지난달 95.1보다 7.2p 하락했다.

'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이가 잔금을 정상적으로 치르고 입주할 수 있을지를 예상하는 지표로, 주산연이 전국의 주택사업자를 설문 조사해 산출한다. 지수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입주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사업자가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비관적 전망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이달 지수는 수도권(99.0→94.1)과 지방 광역시(97.9→93.6) 그리고 도 지역(91.5→81.2)에서 모두 지난달보다 낮아졌다.

최근 새 정부 출범에 따른 경기 활성화 기대감과 대출 금리 하락 등으로 주택 시장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에도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하락한 배경으로 주산연은 조사 시점(지난달 15일~25일)을 들었다.

대선 정국 불확실성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발 '관세 전쟁' 재확산 우려에 다음 달 예정된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규제 시행 등이 겹쳐 주택사업자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했다는 것이다.

수도권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을 겪은 서울(110.2→100.0, -10.2p)은 두 자릿수 하락 폭을 기록했다. 경기(97.2→92.5)도 4.7p 떨어졌고, 인천(89.6→90.0)은 0.4p 올랐다.

주산연은 "서울은 강남 3구 등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한 주택 가격 및 청약 경쟁률 상승과 금리 인하로 인한 대출 부담 완화 등에 따른 회복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혔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까지 18주 연속 상승했고, KB국민은행 조사에서 지난달 서울 주택 평균 매매 가격은 사상 처음으로 10억 원을 넘어섰다.

한편, 주산연은 "지난 4월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전달인 3월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비수도권은 2만 1897가구로 전달 2만 543가구 대비 6.6% 늘어 지역 간 입주 시장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새 정부의 미분양 해소 정책 강도와 시기가 향후 비수도권 입주 전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산연은 덧붙였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