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미국과 중국이 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고위급 회담을 갖고 양국 간 '무역 협상'의 걸림돌인 수출통제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10일 다시 만나 대화를 이어가기로 한 가운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협상 결과를 보고 받고 "우리는 중국과 잘하고 있지만 중국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미·중 대표단은 이날 런던에서 만나 지난달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도출했던 '제네바 합의'의 후속 회담을 열었다.
미국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가 테이블에 앉았고, 중국측은 '경제 실세'로 평가되는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가 협상에 참여했다.
이날 협상에서 미국은 중국이 희토류의 대미 수출 제한을 완화하는 조건으로 중국을 겨냥한 기술 수출통제를 일부 해제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네바 합의' 이후 중국의 합의 불이행을 주장해온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90분간 통화한 후 "앞으로 희토류 제품의 복잡성에 대한 질문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연합뉴스다만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측이 요구해온 '미국의 부정적 조치 철회' 등은 어떻게 해결됐는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중국이 말하는 '부정적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관세 전쟁' 국면에서 항공기 엔진, 반도체 등 첨단 기술의 대(對)중국 수출을 금지한 것을 의미한 것으로 해석됐다.
미국측은 이날 회담에서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제트기 엔진 부품, 화학 및 원자력 소재 등에 대한 수출통제를 해제할 준비가 됐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희토류를 원활하게 공급받는 조건으로 이같은 조치들을 완화하겠다는 입장인 것이다.
이번 협상은 양국이 '제네바 합의'를 둘러싼 입장차를 해소하기 위한 차원에서 소집됐다.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을, 중국은 미국의 첨단기술 대중 수출 통제를 문제삼았고 양국 정상은 지난 5일 통화에서 런던에서 후속 고위급 무역 협상을 열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