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쏟아지는 국힘 후보들…경선룰 '샅바 싸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선관위 오늘 첫 회의

'당심50·민심50' 경선룰 변경 여부
황우여 "모든 가능성 열어두고 논의"
"시간 없다" 현실론 속 "이기려면 바꿔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의 막이 오른 가운데 경기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모습. 류영주 기자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의 막이 오른 가운데 경기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모습. 류영주 기자
국민의힘 대선 후보 주자들이 20명 가까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회가 경선룰을 어떻게 만들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민심 비율 등의 조정을 통해 흥행 요소를 만들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면서다.

본경선 투표 반영 비율은 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기존 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선관위가 재량권을 가지고 있는 예비경선의 경우 100% 여론조사 뿐 아니라, 7대 3, 8대 2 반영 방식이 모두 검토 대상이다.

지난 대선 막판 洪→尹 뒤집었던 변수 '경선룰'…국힘, 논의 착수

국민의힘 제21대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9일 오전 첫 회의를 연다. 주로 경선 관련 일정과 방식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경선 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이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황우여 선관위원장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룰이 결정되지 않으면 여론조사에 들어가질 못하지 않나. 얼른 토론도 하고 여론조사도 해야 한다"면서 "(룰 조정과 관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관위가 정하는 경선 룰에 따라 후보별 명암도 엇갈릴 전망이다. 탄핵 정국이 길어지면서 지지층 결집이 완강해진 상황이라 상대적으로 '탄핵 반대'를 외쳤던 주자일수록 당심에서 유리하다. 반면 '탄핵 찬성'을 외쳤던 이들은 민심 비율이 높을수록 좋다.

앞선 20대 대선 경선 과정에선 총 15명이 후보로 등록, 3명을 서류 심사에서 탈락시키고 12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1차 경선을 치렀다. 당심20%·민심80% 룰을 적용해서 8명으로 압축했고, 2차 경선에선 당심 30%·민심70% 룰을 통해 최종 4명으로 추린 바 있다.

본경선에 오른 4명은 당심50%·민심50%의 룰로 붙었고, 윤석열 후보가 최종 당선됐다. 이때 홍준표 후보가 민심에서는 48.21%를 얻어 37.94%를 받은 윤석열 후보를 이겼지만, 당심에서 윤 후보가 57.77%(홍 후보 34.80%)로 압도적 지지를 받으면서 뒤집혔다. 만약 민심 비율이 높았다면 대선 후보가 달라졌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이에 당내에선 경선 룰에 대한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주로 영남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심을 높이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들은 "우리 당 후보인데 왜 일반 국민 여론조사 비율을 높이냐"며 "당심을 60~70%까지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수도권 의원들은 민심을 높이자는 쪽이다. 이들은 "대선은 결국 중도층 잡기 싸움인데, 우리 당원들한테만 지지를 받는 후보가 본선에서 경쟁력이 있겠나"라고 주장한다.

일각에선 '100% 완전 국민경선제'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당에서 배출한 대통령이 탄핵된 상황에서 치러지는 선거인만큼, 당이 경선 과정에서 국민들의 관심을 받으려면 민심에 따르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흥행' 측면서도 룰 조정 필요 목소리…"민심이 원하는 후보 내야"

박종민 기자박종민 기자
경선 흥행 측면에서도 룰 조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당심 비율이 높을수록 일반 국민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그만큼 '감동'도 적기 때문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후보가 10명 넘게 있지만 지지율 다 합쳐도 이재명보다 안되지 않나. 단순히 사람이 많다고 흥행이 되는 게 아니다"라며 "후보가 당내에서 만들어지는 과정을 통해 국민 지지율도 함께 올라갈 수 있다. 당이 어려운 상황이니만큼 극적인 상황이 연출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경선 룰을 바꾸기 위해선 당헌·당규를 변경해야 하는데, 조기 대선이라는 현실 속에서 시간이 부족하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당 선관위 관계자는 "당헌·당규를 건드리게 되면 전국위까지 갔다가 와야 하는데, 며칠이 소요된다. 지금 그러기엔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유승민 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시간이 촉박해 경선 룰을 바꿀 수 없다는 얘기가 나돈다. 과연 대선 승리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며 "중도에서 이재명을 이기는 후보만이 대선 승리를 가져올 수 있다. 왜 이기는 길을 외면하고 지는 길로 가려 하나"라고 비판했다.

이어 "2022년 12월 19일 비대위 의결부터 23일 온라인 전국위 의결까지 불과 나흘 만에 전광석화로 '당원 100%'로 경선 룰을 바꿨던 당이다. 이유는 오직 하나, 민심에서 압도적으로 앞선 유승민이 당 대표 되는 걸 막기 위해 그렇게 했다"며 "그때는 평시고 지금은 전시다. 진정 이재명을 이겨야 한다면 민심이 원하는 후보를 내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0

1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