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연희 국회의원 페이스북 캡처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조기 대선일이 오는 6월 3일로 확정되면서 청와대 이전이 충북지역 최대 현안 중 하나로 급부상했다.
벌써부터 대권 주자들의 주요 공약에 포함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데, 지역 민심을 뒤흔들 최대 변수로 꼽히고 있다.
9일 지역 정가 등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이재명 당대표의 지시를 받아 신행정수도 건설특별법 발의를 추진하는 등 행정수도 이전을 재추진하고 나섰다.
최근 차기 정권의 서울 용산 대통령실 불가론에 힘이 실리자 현실적인 대안으로 세종 이전을 검토하고 나선 것이다.
특히 민주당으로서는 '민심의 바로미터'로 불리는 충청권 민심을 확보할 수 있는 확실한 카드가 될 수 있다는 점에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대선에서 민주당은 세종(윤석열 44.14% vs 이재명 51.91%)을 제외한 충북(윤 50.67% vs 이 45.12%)과 충남(윤 51.08% vs 이 44.96%), 대전(윤 49.56% vs 이 46.45%)에서 모두 패하면서 전체 불과 0.73%p 차의 뼈아픈 패배를 맛봤다.
더욱이 최근에는 김동연, 김경수, 이준석, 한동훈 등 여야를 막론하고 대권 주자들도 앞다퉈 대통령실 세종 이전에 힘을 실으면서 행정수도 이전은 충청권 표심을 가를 주요 대선공약으로 떠올랐다.
특히 충북은 지난해 총선에서도 민주당 이연희 국회의원(청주 흥덕)이 '청와대 청주 이전'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워 당선되면서 내심 공약 실현에 대한 기대감까지 키우고 있다.
다만 헌법 개정 문제와 맞물려 있는 등 현실적 여건상 집권 직후 이전은 어렵다는 게 현재 정치권의 중론이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행정수도 이전은 위헌 문제가 결부돼 있기 때문에 개헌 논의까지 고려돼야 한다"며 "차기 정권은 인수위가 없기 때문에 우선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하되 임기 내 이전을 추진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에 따라 이번 대선에서도 공약으로는 세종 이전의 당위성을 밝히고, 앞으로의 로드맵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흘러 나오고 있다.
반면 지역 정치권은 이번 대선 과정에서 행정수도 이전 약속과 함께 구체적인 로드맵까지 끌어낼 수 있도록 총력전에 나설 분위기다.
이 의원은 지난 7일 충북CBS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인 '김종현의 시사직감' 전화 인터뷰를 통해 "5년 정도의 로드맵을 가지고 대통령실을 어떻게 이전하겠다는 것을 밝힌 다음에 그 과정에서 충청권으로 옮겨야 된다라고 하는 부분은 일단 충청권 의원들과 합의를 이뤘다"며 "공항이나 KTX역을 봤을 때는 청주에서 유치하는 것도 합당하다고 보고 계속 주장을 제기하겠다"고 말했다.